유니티 파티클이 씬에 안 보일 때, 대부분은 작은 설정 하나가 문제입니다.
처음엔 뭔가 큰 오류처럼 느껴지지만, 의외로 흔한 실수일 뿐입니다.
수요일 밤, 당신은 보스 등장 연출을 테스트하고 있다. 카메라도 잡았고, 음악도 붙였다. 이제 마지막으로 스모크 파티클만 나오면 된다.
유니티 파티클 시스템으로 잘 만들었고, Play 버튼도 눌렀는데…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분명 들어갔는데 화면엔 공기만 가득하다.
유니티 파티클 안 보임 현상은 대부분 ‘기본값’ 때문이다
유니티 파티클이 보이지 않을 땐, 먼저 파티클 시스템의 기본 설정을 의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Looping이 꺼진 상태에서 Duration이 너무 짧으면, 화면에 닿기도 전에 사라진다. Scene에 분명히 존재하지만 Game 뷰에는 보이지 않는, 가장 흔한 실수다.
또한 ‘Simulation Space’가 Local로 되어 있으면, 움직이는 오브젝트와 함께 파티클도 딸려가버린다. 정적인 위치에서 확인할 땐 보이는데, 실전 플레이에선 사라져버리는 이유다.
파티클 위치와 카메라 방향이 어긋난 경우도 많다
특히 유니티 2D 프로젝트에서 파티클이 Z축 바깥으로 밀려 있는 경우, Game 뷰에선 전혀 보이지 않는다.
위치 좌표만 보면 정확한 것 같지만, 사실 카메라 뒤쪽에 생성된 것이다.
이럴 땐 유니티 파티클의 Transform 값을 다시 살펴보고, Scene 뷰에서 직접 위치를 옮겨보는 게 빠르다. 오브젝트는 제대로 배치했는데, 파티클만 어딘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도 많다.
재생 타이밍이 씬 흐름과 맞지 않을 수 있다
파티클이 씬에 있긴 한데, 너무 일찍 끝나버리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Play On Awake가 꺼진 상태로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자동 재생이 되지 않는다.
또는 파티클이 재생되기도 전에 오브젝트가 비활성화되거나 Destroy 되는 경우도 흔하다. 유니티 파티클이 ‘보이지 않지만 실행은 됐다’고 착각하게 만드는 원인이다.
이런 경우는 Emission 설정, 재생 시간, 루프 여부를 다시 확인해야 한다.
머티리얼이나 쉐이더 문제가 시각을 완전히 가려버리기도 한다
파티클이 실행되고 위치도 맞는데, 화면에서 안 보일 땐 머티리얼 설정을 점검해야 한다.
유니티 파티클에 적용된 쉐이더가 알파 0으로 설정되었거나, Blending이 비정상적으로 설정된 경우다.
가장 빠른 확인 방법은, 기본 제공 파티클 쉐이더로 일시적으로 바꿔보는 것이다. 즉시 보인다면 원인은 쉐이더 설정이다.
특히 커스텀 머티리얼을 사용하는 경우, Sorting Layer나 Depth Write 같은 렌더링 옵션이 영향을 줄 수 있다.
카메라 클리핑이나 조명 부족도 확인해야 한다
유니티 파티클이 매우 가까이 있거나 멀리 있는 경우, 카메라의 Near/Far Clipping Plane 설정에 걸릴 수 있다. 이 값이 너무 좁게 설정되어 있으면 파티클 일부가 잘려나간다.
또 하나 자주 놓치는 건 조명이다. Light Influence가 켜진 상태에서 조명이 아예 없는 씬이라면, 파티클이 너무 어둡게 나와서 존재 자체가 보이지 않는다.
이럴 땐 조명을 추가하거나 Emissive 쉐이더로 변경해 테스트해볼 수 있다.
유니티 파티클은 ‘보이지 않아도 실행되는’ 경우가 많다
유니티 파티클 시스템은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재생돼도, 아주 작은 설정 하나로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다. 그래서 당황하게 된다. 하지만 다섯 가지 조건만 순서대로 점검하면 대부분의 문제는 빠르게 해결된다.
- 위치
- 타이밍
- 머티리얼
- 카메라
- 기본 설정
이 순서대로 확인하면 된다.
유니티 파티클 문제는 복잡하지 않다. 대신 눈으로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